너무너무 멋져 눈이눈이 부셔

[JS] 알고리즘 문제에 자주 사용되는데 내가 자꾸 까먹는 내장 함수 본문

멋있는 JavaScript

[JS] 알고리즘 문제에 자주 사용되는데 내가 자꾸 까먹는 내장 함수

강하다이녀석 2024. 3. 4. 20:46

까먹을 때마다 추가 중이다.

 

 

1. 배열

arr.splice(1,1) -> 인덱스 1번쨰 요소에서부터 1개를 없애주세요.

arr.splice(1,0,"민지") -> 배열의 1번째에다 "민지"를 추가해주세요. 중간 값을 0으로 하고, 뒤에 요소를 추가하면 그 요소를 해당 인덱스에 삽입할 수 있다.

arr.shift() -> 맨 앞에 거 없애주세요.

arr.sort() -> 유니코드 순으로 정렬

arr.sort(a,b=>a-b) => 콜백 함수로 리턴값을 정해줘야 오름/내림 차순 정렬이 된다. a-b는 오름차순, b-a는 내림 차순이다.두 숫자의 차를 가지고 판별한다.

sort를 2차원 배열에서 쓸 때 : 

[ [ 1, 4 ], [ 5, 7 ], [ 8, 11 ], [ 12, 14 ] ]

위 값을 배열 안의 배열의 1번째 값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고 싶어요 -> 

meetingArr = meetingArr.sort((a,b)=>{a[1]-b[1]}

 

그럼 배열 1번째 값 기준으로 정렬하는데, 만약에 같으면 0번째 값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해주세요

meetingArr = meetingArr.sort((a,b)=>{
    if(a[1]===b[1]){
        return a[0] - b[0];
    }else{
        return a[1]-b[1];
    }
    })

2. 객체

 

3. Set

 

4. Map

 

5. 기타

Math.max()는 배열을 인자로 받지 않는다. 

Math.floor() 는 정수를 반환하고, 만약 음수일 경우 그거보다 더 작은 음수.

toFixed(숫자)는 안에 넣은 숫자까지 보여준다. 반올림 해서 보여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