너무너무 멋져 눈이눈이 부셔

스프링부트 - 객체 지향 설계란 본문

Spring Boot/개념 정리

스프링부트 - 객체 지향 설계란

강하다이녀석 2023. 9. 3. 19:10

객체 지향 설계란

인프런 “김영한-스프링 핵심원리”를 듣고 공부한 내용입니다.

EJB: 비용의 문제, 진짜 어렵고 복잡하고 느림.

→ 스프링의 탄생

→하이버네이트 (엔티티빈 기술 대체, JPA로 새로운 표준 정의)

스프링 역사

스프링 릴리즈 역사
• 2003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1.0 출시 - XML
• 2006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2.0 출시 - XML 편의 기능 지원
• 2009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3.0 출시 - 자바 코드로 설정
• 2013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4.0 출시 - 자바8
• 2014년 스프링 부트 1.0 출시
• 2017년 스프링 프레임워크 5.0, 스프링 부트 2.0 출시 - 리엑티브 프로그래밍 지원(비동기로 node.js처럼 프로그래밍 가능)
• 2020년 9월 현재 스프링 프레임워크 5.2.x, 스프링 부트 2.3.x

개념

  •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
  •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:

객체들의 모임,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.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한다.(컴퓨터 부품 갈아끼우듯.)

다형성

  •  
  •  

자동차가 바뀌어도 운전을 할 수 있음. 자동차 역할, 자동차 인터페이스만 알면 된다.

운전자는 자동차 내부 부품을 1도 몰라도 됨. 부품을 바꿔도 운전자는 똑같이 운전만 하면 됨. → 확장 가능한 설계.

→ 전기 자동차가 나왔다고 해도 내가 운전을 못하는 게 아님.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자동차를 만들 수 있음.

내부 구조를 클라이언트가 몰라도,

  • 역할(인터페이스)과 구현(클래스, 구현객체)으로 세상을 구분했기 때문.
    • 클라이언트는 인터페이스(역할)만 알면 된다
    •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.
    •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.(기름→전기)
    •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. (K3→테슬라)
  • 객체의 협력이라는 관계부터 생각.

자바 언어의 다형성

  • 오버라이딩(재정의) :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가 실행.
  • 의존한다:내가 쟤를 알고 있다.

  •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.
  •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!

단점

  • 역할이 바뀌면, 클라이언트-서버에 큰 변경 발생.(대본 바뀐 로미오…, 자동차 를 비행기로 변경해야 한다면?)
  • 인터페이스를 잘 안정적으로 구현해놓는것이 중요!
  • 스프링-객체 지향: 다형성이 중요하다.!!!

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(SOLID)

  • SRP: 단일 책임 원칙:
    •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.
    • 변경이 있을 때 파급효과가 적어야 한다.
    • ex) 객체의 생성과 사용을 분리.
  • OCP: 개방-폐쇄 원칙
    •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있으나 변경에는 닫혀있어야 한다.
    • 다형성 활용.
    • 문제점: 구현 객체를 변경하려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해야 함. 다형성을 사용했지만 OCP원칙을 지킬 수 없음.
    • 객체를 생성하고 연관관계를 맺어주는 별도의 조립, 설정자가 필요하다.→스프링 컨테이너가 해줌.
  • LSP: 리스코프 치환 원칙
    • 프로그램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.
    • 인터페이스 규약을 다 지켜야 한다. 컴파일이 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님.
    • ex) 자동차 인터페이스의 엑셀은 앞이다. 뒤로 가게 구현하면 컴파일에는 문제가 없지만 LSP는 위반한 것이다.
  •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
    •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
    • 자동차 I →운전, 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
    • 사용자 클라이언트→ 운전자, 정비사 클라이언트로 분리할 수 있다.
    • 정비 인터페이스가 변해도 운전자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음.
    • 인터페이스 명확, 대체 가능성이 높아진다.
  •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
    • 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,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.
    •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 말고,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 한다
    • 역할에 의존해야 한다는 뜻이다!!!!!!!!!! (ex 원빈이 김태희랑만 연기를 잘함. →쓸모없음. 대본을 잘 소화해야함)

  • 이 멤버 서비스는 MemberReposiroty뿐만 아니라 MemoryMemberReposiroty도 알고 있다.

이 서비스는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만, 구현 클래스에도 동시에 의존한다. →DIP위반하므로 이 서비스가 MemberRepository만 의존하도록 해야.

정리

  • 객체 지향의 핵심은 다형성 but 구현 객체를 변경할 시 클라이언트 코드도 변경된다→ OCP,DIP를 지킬 수 없다

스프링

  • DI와 DI컨테이너를 통해서 다형성+OCP,DIP를 가능하게 지원.
  • 클라이언트 코드 변경 없이 기능 확장.

중요

  • 모든 설계에 역할과 구현을 분리하자.
  • 배우는 언제든지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자.
  • 이상적: 모든 설계에 인터페이스를 부여 →추상화라는 비용이 발생.
  • 기능을 확장할 가능성이 없다면, 구체 클래스를 직접 사용. 향후 꼭 필요할 때 리팩터링 해서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는 방법 o